Search 닫기

Article

Split Viewer

Editorial

Korean J Gastroenterol 2025; 85(1): 31-33

Published online January 25, 2025 https://doi.org/10.4166/kjg.2024.158

© The Korean Society of Gastroenterology.

Diversity and Equity for Inclusive Research: A Gender Perspective

포용적 연구를 위한 다양성과 형평성: 성별을 중심으로

Heisook Lee

이혜숙

The Korea Center for Gendered Innovations for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GISTeR), Seoul, Korea

한국과학기술젠더혁신센터

Correspondence to: Heisook Lee, The Korea Center for Gendered Innovations for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GISTeR), Building 1 #404, The Korea Science and Technology Center, 22 Teheran-ro 7-gil, Gangnam-gu, Seoul 06130, Korea. Tel: +82-2-6205-9102, Fax: +82-2-6205-9191, E-mail: hslee@gister.re.kr, ORCID: https://orcid.org/0000-0002-5742-9823

Financial support: This research was funded by the Ministry of Science and ICT through WISET (WISET-202403GI01).

Received: December 20, 2024; Accepted: January 2, 2025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연구 결과의 일반화 및 재현 가능성을 높이고, 정확한 결론을 도출하기 위해서는 연구 과정 전반에 걸쳐 다양성을 확보해야 한다. 특히, 성별은 건강, 질병, 사회적 경험 등 다양한 측면에서 중요한 변수로 작용한다. 본 고는 성별을 중심으로 연구에서의 형평성 문제를 제기하고, 연구팀 구성부터 연구 결과의 해석까지, 연구의 전 과정에서 성별 요인을 고려하는 것이 왜 중요한지, 그리고 어떻게 실천할 수 있는지에 대한 방안을 살펴보고자 한다. 여기서 성별은 생물학적 성 또는 사회적 성인 젠더 또는 이 둘을 모두 의미하지만(과학기술기본법에 사용된 용어를 준용),1 학술연구에서 성과 젠더는 변수로서 명확하게 구분하여 사용되어야 한다.

연구팀의 형평성(equity), 다양성(diversity), 포용성(inclusion)은 혁신을 위한 필수 요소이다.

연구팀의 EDI는 단순히 구성원의 다양화를 넘어, 연구의 질을 향상시키고 혁신을 촉진하는 핵심 요소이다. 다양한 배경을 가진 구성원들이 함께 참여하는 환경은 서로 다른 관점과 아이디어를 교환하고, 문제 해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제로 다양성이 높은 연구팀은 더욱 혁신적인 결과를 도출하고, 문제 해결에 효과적으로 대처한다는 다수의 연구 결과가 있다.2 성별에 따라 연구 주제 선호도나 연구 방법론에 차이가 존재하며,3,4,5 다양한 구성원으로 이루어진 연구팀이 연구 디자인과 수행 과정에서 더욱 포괄적인 관점을 제시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나아가 크란츠버그의 주장6처럼, 기술 개발은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관점을 반영하는 사회적인 활동을 포함한다. 따라서 연구개발팀의 구성원뿐만 아니라, 정책전문가, 투자자, 수요자 등 다양한 영역에서 포용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1. 연구 과정에서 단일 성별 기반 연구는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

과거에는 연구 대상을 단순화하기 위해 한 성별만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 방식은 성별에 따른 특성을 간과하여, 연구 결과의 일반화 가능성을 떨어뜨리고 특정 성별에 불리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7,8 실제로, 1997년 의약품 개발 과정에서 주로 수컷 동물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여성에게 더 큰 부작용이 발생한 사례가 보고된 후에, 최근 알츠하이머 치료제 레케네맙도 성별에따라 치료 효과의 차이가 나타났다고 밝혀졌다.9 성별 특성분석 연구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는 이유이고, 이러한 연구의 장점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성별에 따른 차이를 고려하여 연구를 설계하고 분석함으로써, 더욱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연구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질병의 진단과 치료에 있어 성별에 따른 차이를 고려하여, 개인 맞춤형 치료를 앞당길 수 있다.

성별에 따른 건강 불평등을 해소하여 형평성 증진할 수 있다.결론적으로, 연구 과정에서 성별 특성을 반영하는 것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니라, 과학적 진보와 사회적 정의를 위한 필수적인 요소이다.

2. 소화기 질환에서의 성별 등 특성 반영 연구 사례

1) 과민성 대장 증후군(IBS)은 성별에 따른 차이가 크다

IBS는 남성보다 여성에게 더 흔한 질환으로 단순히 유병률뿐만 아니라, 여성은 남성보다 더 심각한 증상을 경험하고, 불안이나 우울증과 같은 정신적인 문제를 동반할 가능성이 높다. IBS의 발병 기전, 증상, 치료 반응 등 다양한 측면에서 성별 간 차이가 존재하며, 이러한 차이를 고려한 맞춤형 치료가 필요하다.10 IBS에 대한 성별 특성 연구는 향후 정신건강질환 및 관련된 약물 개발에도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있을 것이다.

2) 약물 반응의 성별 특성은 소화기계에서 미지의 영역이다

약물에 대한 반응은 개인마다 다르지만, 성별에 따라 현저한 차이를 보이는 경우가 많다. 특히, 간과 신장 기능의 차이로 인한 약물 대사 과정의 차이는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소화기계의 경우, 성별에 따른 해부학적 구조, 생리적 기능, 미생물 환경 등이 달라서 약물 흡수, 분포, 대사, 배설 과정에서도 성별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11,12 현재까지 소화기계에서 성별 특성에 대한 연구는 부족했지만, 향후 활발한 연구는 개인 맞춤형 치료법 개발에 중요한 기반이 될 것이다.

3. 포용적 연구는 건강 형평성과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필수 요소

성별을 포함한 나이와 인종 등 다양한 요인을 고려한 포용적인 연구는 단순히 연구의 질을 높이는 것을 넘어, 건강 형평성 확보와 지속 가능한 사회 발전의 필수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성별 특성을 반영한 정확한 진단과 치료는 개인의 건강 증진뿐만 아니라, 국가 의료 비용 절감에도 기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미국 정부의 여성 건강 연구 투자 확대는 포용적인 연구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이다.13 이는 단순히 여성의 건강 문제 해결을 넘어, 사회 전체의 건강 증진과 경제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투자이다. 맥킨지 헬스의 보고서14도 여성의 건강격차 해소를 통해 2040까지 1조 달러의 가치 창출을 예측하여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하고 있다.

4. 포용적 연구를 위한 지침

연구의 수월성을 높이고 포용성을 강조하며, 학술지들은성별을 고려한 연구를 장려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Springer Nature와 Elsevier에서 발행되는 학술지는 유럽 과학 편집자 협의회(EASE)가 만든 SAGER 지침15을 기반으로, 연구의 모든 단계에서 성별과 젠더의 특성을 고려할 것을 권장한다. 학술지들이 권장하는 공통된 성별 특성 반영 주요 내용은 성과 젠더를 구분하여 정확히 사용할 것과 단계별로 다음을 권장한다16,17 : ① 연구 기획 단계에서 연구 질문, 설계, 가설 설정 시 성별, 연령, 인종 등 다양한 요인을 고려하고, ② 연구 수행 단계에서 데이터의 수집 및 분석 과정에서 성별과 관련된 데이터를 확보하고, 적절한 분석 방법을 활용하며, ③결과 해석 단계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고, 해석 결과를 종합적으로 제시한다.

현재 국내의 포용적 연구 환경은 과학기술기본법 개정과 제5차 과학기술기본계획18에 성별 등 특성을 반영했으나 연구자들의 자율에 맡겨져 충분히 확산되지 못한 실정이다.

국제적으로는 이미 성별 특성을 반영한 연구가 중요한 화두로 떠올랐다. 유럽의 호라이즌 유럽은 연구 제안서에 성별 특성 반영을 의무화하고 있으며,19 미국의 NIH는 연구 제안서에 성별 특성 분석을 고려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20 캐나다의 경우, 성별뿐만 아니라 다양성, 형평성, 포용성(EDI)을 포괄적으로 국가 연구 정책에 통합하여 더욱 포괄적인 연구 환경을 조성하고 있다.21,22

우리나라도 성별 등 특성 반영 연구를 의무화하는 국제적 추세에 맞는 포용적인 연구 환경을 조성이 시급하다.23 특히 2025년 호라이즌 유럽에 준회원국 가입을 계기로 성별 특성을 반영한 연구를 위한 구체적인 실행 방안을 마련하고, 관련 분야 전문가 양성에 투자할 때 국제 공동 연구를 활성화할 수 있을 것이다.

  1. Framework Act on Science and Technology. Article 7 (3) 15 (4). Available from: https://www.law.go.kr/%EB%B2%95%EB%A0%B9/%EA%B3%BC%ED%95%99%EA%B8%B0%EC%88%A0%EA%B8%B0%EB%B3%B8%EB%B2%95.
  2. Hewlett SA, Marshall M, Sherbin L. How diversity can drive innovation [Internet]. Harvard Business Review [cited 2024 Dec 3]. Available from: https://hbr.org/2013/12/how-diversity-can-driveinnovation.
  3. Zhang L, Sivertsen G, Du H, Huang Y, Glänzel W. Gender differences in the aims and impacts of research. Scientometrics 2021;126:8861-8886.
  4. Thelwall M, Bailey C, Tobin C, Bradshaw NA. Gender differences in research areas, methods and topics: Can people and thing orientations explain the results?. J Informetr 2019;13:149-169.
  5. Zhang C, Wei S, Zhao Y, Tian L. Gender differences in research topic and method selection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erspectives from three top journals.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2023;45:101255.
  6. Kranzberg M. Technology and history: "Kranzberg's Laws". Technol Cult 1986;27:544-560.
  7. Mamlouk GM, Dorris DM, Barrett LR, Meitzen J. Sex bias and omission in neuroscience research is influenced by research model and journal, but not reported NIH funding. Front Neuroendocrinol 2020;57:100835.
  8. European Commission: Directorate-General for Research and Innovation, Gendered innovations 2: how inclusive analysis contributes to research and innovation: policy review [Internet]. Publications Office of the European Union [cited 2024 Dec 10]. Available from: https://op.europa.eu/en/publication-detail/-/publication/33b4c99f-2e66-11eb-b27b-01aa75ed71a1/language-en.
  9. Haupt S, Carcel C, Norton R. Neglecting sex and gender in research is a public-health risk. Nature 2024;629:527-530.
  10. Narayanan SP, Anderson B, Bharucha AE. Sex- and gender-related differences in common functional gastroenterologic disorders. Mayo Clin Proc 2021;96:1071-1089.
  11. Freire AC, Basit AW, Choudhary R, Piong CW, Merchant HA. Does sex matter? The influence of gender on gastrointestinal physiology and drug delivery. Int J Pharm 2011;415:15-28.
  12. Vinarov Z, Abdallah M, Agundez JAG, et al. Impact of gastrointestinal tract variability on oral drug absorption and pharmacokinetics: An UNGAP review. Eur J Pharm Sci 2021;162:105812.
  13. The White House. The White House Initiative on Women's Health Research [Internet]. The White House [cited 2024 Nov 30]. Available from: https://www.whitehouse.gov/womenshealthresearch/.
  14. Heidari S, Babor TF, Castro PD, Tort S, Curno M. Sex and Gender Equity in Research (SAGER): rationale for the SAGER guidelines and recommended use: a Korean translation. Ewha Med J 2024;47:e10.
  15. Accounting for sex and gender makes for better science. Nature 2020;588:196.
  16. Cell Press. Author guideline updates address how to consider language related to "sex" and "gender". [cited 2024 Dec 5]. Available from: https://www.cell.com/do-content/sex-and-gender-guidelines.
  17. KISTEP. The 5th Science and Technology Master Plan [Internet]. KISTEP [cited 2024 Dec 9]. Available from: https://www.kistep.re.kr/reportDetail.es?mid=a10305030000&rpt_tp=831-002&rpt_no=RES0220230107.
  18. European Commission. Gender equality in research and innovation [Internet]. European Commission [cited 2024 Dec 4]. Available from: https://research-and-innovation.ec.europa.eu/strategy/strategy-2020-2024/democracy-and-rights/gender-equality-research-and-innovation_en.
  19.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NIH-Wide Strategic Plan for Diversity, Equity, Inclusion, and Accessibility (DEIA) [Internet].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cited 2024 Dec 4]. Available from: https://www.nih.gov/about-nih/nih-wide-strategic-plan-diversity-equity-inclusion-accessibility-deia.
  20. Canadian Institutes of Health Research. Best practices in equity, diversity and inclusion in research practice and design [Internet]. Canadian Institutes of Health Research [cited 2024 Dec 3]. Available from: https://www.sshrc-crsh.gc.ca/funding-financement/nfrf-fnfr/edi-eng.aspx.
  21. Natural Sciences and Engineering Research Council of Canada. Available from: https://www.nserc-crsng.gc.ca/index_eng.asp.
  22. Kim N, Nam K, Shim KN, et al. How to achieve diversity, equity, and inclusion in The Korean Society of Gastroenterology?. Korean J Gastroenterol 2025;85:22-30.

Article

Editorial

Korean J Gastroenterol 2025; 85(1): 31-33

Published online January 25, 2025 https://doi.org/10.4166/kjg.2024.158

Copyright © The Korean Society of Gastroenterology.

Diversity and Equity for Inclusive Research: A Gender Perspective

Heisook Lee

The Korea Center for Gendered Innovations for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GISTeR), Seoul, Korea

Correspondence to:Heisook Lee, The Korea Center for Gendered Innovations for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GISTeR), Building 1 #404, The Korea Science and Technology Center, 22 Teheran-ro 7-gil, Gangnam-gu, Seoul 06130, Korea. Tel: +82-2-6205-9102, Fax: +82-2-6205-9191, E-mail: hslee@gister.re.kr, ORCID: https://orcid.org/0000-0002-5742-9823

Financial support: This research was funded by the Ministry of Science and ICT through WISET (WISET-202403GI01).

Received: December 20, 2024; Accepted: January 2, 2025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Body

연구 결과의 일반화 및 재현 가능성을 높이고, 정확한 결론을 도출하기 위해서는 연구 과정 전반에 걸쳐 다양성을 확보해야 한다. 특히, 성별은 건강, 질병, 사회적 경험 등 다양한 측면에서 중요한 변수로 작용한다. 본 고는 성별을 중심으로 연구에서의 형평성 문제를 제기하고, 연구팀 구성부터 연구 결과의 해석까지, 연구의 전 과정에서 성별 요인을 고려하는 것이 왜 중요한지, 그리고 어떻게 실천할 수 있는지에 대한 방안을 살펴보고자 한다. 여기서 성별은 생물학적 성 또는 사회적 성인 젠더 또는 이 둘을 모두 의미하지만(과학기술기본법에 사용된 용어를 준용),1 학술연구에서 성과 젠더는 변수로서 명확하게 구분하여 사용되어야 한다.

연구팀의 EDI (EQUITY, DIVERSITY, INCLUSION) 증진

연구팀의 형평성(equity), 다양성(diversity), 포용성(inclusion)은 혁신을 위한 필수 요소이다.

연구팀의 EDI는 단순히 구성원의 다양화를 넘어, 연구의 질을 향상시키고 혁신을 촉진하는 핵심 요소이다. 다양한 배경을 가진 구성원들이 함께 참여하는 환경은 서로 다른 관점과 아이디어를 교환하고, 문제 해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제로 다양성이 높은 연구팀은 더욱 혁신적인 결과를 도출하고, 문제 해결에 효과적으로 대처한다는 다수의 연구 결과가 있다.2 성별에 따라 연구 주제 선호도나 연구 방법론에 차이가 존재하며,3,4,5 다양한 구성원으로 이루어진 연구팀이 연구 디자인과 수행 과정에서 더욱 포괄적인 관점을 제시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나아가 크란츠버그의 주장6처럼, 기술 개발은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관점을 반영하는 사회적인 활동을 포함한다. 따라서 연구개발팀의 구성원뿐만 아니라, 정책전문가, 투자자, 수요자 등 다양한 영역에서 포용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연구 과정에서 성별 특성 분석의 필요성과 장점

1. 연구 과정에서 단일 성별 기반 연구는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

과거에는 연구 대상을 단순화하기 위해 한 성별만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 방식은 성별에 따른 특성을 간과하여, 연구 결과의 일반화 가능성을 떨어뜨리고 특정 성별에 불리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7,8 실제로, 1997년 의약품 개발 과정에서 주로 수컷 동물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여성에게 더 큰 부작용이 발생한 사례가 보고된 후에, 최근 알츠하이머 치료제 레케네맙도 성별에따라 치료 효과의 차이가 나타났다고 밝혀졌다.9 성별 특성분석 연구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는 이유이고, 이러한 연구의 장점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성별에 따른 차이를 고려하여 연구를 설계하고 분석함으로써, 더욱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연구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질병의 진단과 치료에 있어 성별에 따른 차이를 고려하여, 개인 맞춤형 치료를 앞당길 수 있다.

성별에 따른 건강 불평등을 해소하여 형평성 증진할 수 있다.결론적으로, 연구 과정에서 성별 특성을 반영하는 것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니라, 과학적 진보와 사회적 정의를 위한 필수적인 요소이다.

2. 소화기 질환에서의 성별 등 특성 반영 연구 사례

1) 과민성 대장 증후군(IBS)은 성별에 따른 차이가 크다

IBS는 남성보다 여성에게 더 흔한 질환으로 단순히 유병률뿐만 아니라, 여성은 남성보다 더 심각한 증상을 경험하고, 불안이나 우울증과 같은 정신적인 문제를 동반할 가능성이 높다. IBS의 발병 기전, 증상, 치료 반응 등 다양한 측면에서 성별 간 차이가 존재하며, 이러한 차이를 고려한 맞춤형 치료가 필요하다.10 IBS에 대한 성별 특성 연구는 향후 정신건강질환 및 관련된 약물 개발에도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있을 것이다.

2) 약물 반응의 성별 특성은 소화기계에서 미지의 영역이다

약물에 대한 반응은 개인마다 다르지만, 성별에 따라 현저한 차이를 보이는 경우가 많다. 특히, 간과 신장 기능의 차이로 인한 약물 대사 과정의 차이는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소화기계의 경우, 성별에 따른 해부학적 구조, 생리적 기능, 미생물 환경 등이 달라서 약물 흡수, 분포, 대사, 배설 과정에서도 성별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11,12 현재까지 소화기계에서 성별 특성에 대한 연구는 부족했지만, 향후 활발한 연구는 개인 맞춤형 치료법 개발에 중요한 기반이 될 것이다.

3. 포용적 연구는 건강 형평성과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필수 요소

성별을 포함한 나이와 인종 등 다양한 요인을 고려한 포용적인 연구는 단순히 연구의 질을 높이는 것을 넘어, 건강 형평성 확보와 지속 가능한 사회 발전의 필수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성별 특성을 반영한 정확한 진단과 치료는 개인의 건강 증진뿐만 아니라, 국가 의료 비용 절감에도 기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미국 정부의 여성 건강 연구 투자 확대는 포용적인 연구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이다.13 이는 단순히 여성의 건강 문제 해결을 넘어, 사회 전체의 건강 증진과 경제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투자이다. 맥킨지 헬스의 보고서14도 여성의 건강격차 해소를 통해 2040까지 1조 달러의 가치 창출을 예측하여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하고 있다.

4. 포용적 연구를 위한 지침

연구의 수월성을 높이고 포용성을 강조하며, 학술지들은성별을 고려한 연구를 장려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Springer Nature와 Elsevier에서 발행되는 학술지는 유럽 과학 편집자 협의회(EASE)가 만든 SAGER 지침15을 기반으로, 연구의 모든 단계에서 성별과 젠더의 특성을 고려할 것을 권장한다. 학술지들이 권장하는 공통된 성별 특성 반영 주요 내용은 성과 젠더를 구분하여 정확히 사용할 것과 단계별로 다음을 권장한다16,17 : ① 연구 기획 단계에서 연구 질문, 설계, 가설 설정 시 성별, 연령, 인종 등 다양한 요인을 고려하고, ② 연구 수행 단계에서 데이터의 수집 및 분석 과정에서 성별과 관련된 데이터를 확보하고, 적절한 분석 방법을 활용하며, ③결과 해석 단계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고, 해석 결과를 종합적으로 제시한다.

포용적인 연구를 위한 법, 제도, 정책

현재 국내의 포용적 연구 환경은 과학기술기본법 개정과 제5차 과학기술기본계획18에 성별 등 특성을 반영했으나 연구자들의 자율에 맡겨져 충분히 확산되지 못한 실정이다.

국제적으로는 이미 성별 특성을 반영한 연구가 중요한 화두로 떠올랐다. 유럽의 호라이즌 유럽은 연구 제안서에 성별 특성 반영을 의무화하고 있으며,19 미국의 NIH는 연구 제안서에 성별 특성 분석을 고려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20 캐나다의 경우, 성별뿐만 아니라 다양성, 형평성, 포용성(EDI)을 포괄적으로 국가 연구 정책에 통합하여 더욱 포괄적인 연구 환경을 조성하고 있다.21,22

우리나라도 성별 등 특성 반영 연구를 의무화하는 국제적 추세에 맞는 포용적인 연구 환경을 조성이 시급하다.23 특히 2025년 호라이즌 유럽에 준회원국 가입을 계기로 성별 특성을 반영한 연구를 위한 구체적인 실행 방안을 마련하고, 관련 분야 전문가 양성에 투자할 때 국제 공동 연구를 활성화할 수 있을 것이다.

Financial support

This research was funded by the Ministry of Science and ICT through WISET (WISET-202403GI01).

Conflict of interest

None.

References

  1. Framework Act on Science and Technology. Article 7 (3) 15 (4). Available from: https://www.law.go.kr/%EB%B2%95%EB%A0%B9/%EA%B3%BC%ED%95%99%EA%B8%B0%EC%88%A0%EA%B8%B0%EB%B3%B8%EB%B2%95.
  2. Hewlett SA, Marshall M, Sherbin L. How diversity can drive innovation [Internet]. Harvard Business Review [cited 2024 Dec 3]. Available from: https://hbr.org/2013/12/how-diversity-can-driveinnovation.
  3. Zhang L, Sivertsen G, Du H, Huang Y, Glänzel W. Gender differences in the aims and impacts of research. Scientometrics 2021;126:8861-8886.
    CrossRef
  4. Thelwall M, Bailey C, Tobin C, Bradshaw NA. Gender differences in research areas, methods and topics: Can people and thing orientations explain the results?. J Informetr 2019;13:149-169.
    CrossRef
  5. Zhang C, Wei S, Zhao Y, Tian L. Gender differences in research topic and method selection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erspectives from three top journals.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2023;45:101255.
    CrossRef
  6. Kranzberg M. Technology and history: "Kranzberg's Laws". Technol Cult 1986;27:544-560.
    Pubmed CrossRef
  7. Mamlouk GM, Dorris DM, Barrett LR, Meitzen J. Sex bias and omission in neuroscience research is influenced by research model and journal, but not reported NIH funding. Front Neuroendocrinol 2020;57:100835.
    Pubmed KoreaMed CrossRef
  8. European Commission: Directorate-General for Research and Innovation, Gendered innovations 2: how inclusive analysis contributes to research and innovation: policy review [Internet]. Publications Office of the European Union [cited 2024 Dec 10]. Available from: https://op.europa.eu/en/publication-detail/-/publication/33b4c99f-2e66-11eb-b27b-01aa75ed71a1/language-en.
  9. Haupt S, Carcel C, Norton R. Neglecting sex and gender in research is a public-health risk. Nature 2024;629:527-530.
    Pubmed CrossRef
  10. Narayanan SP, Anderson B, Bharucha AE. Sex- and gender-related differences in common functional gastroenterologic disorders. Mayo Clin Proc 2021;96:1071-1089.
    Pubmed KoreaMed CrossRef
  11. Freire AC, Basit AW, Choudhary R, Piong CW, Merchant HA. Does sex matter? The influence of gender on gastrointestinal physiology and drug delivery. Int J Pharm 2011;415:15-28.
    Pubmed CrossRef
  12. Vinarov Z, Abdallah M, Agundez JAG, et al. Impact of gastrointestinal tract variability on oral drug absorption and pharmacokinetics: An UNGAP review. Eur J Pharm Sci 2021;162:105812.
    Pubmed CrossRef
  13. The White House. The White House Initiative on Women's Health Research [Internet]. The White House [cited 2024 Nov 30]. Available from: https://www.whitehouse.gov/womenshealthresearch/.
  14. Heidari S, Babor TF, Castro PD, Tort S, Curno M. Sex and Gender Equity in Research (SAGER): rationale for the SAGER guidelines and recommended use: a Korean translation. Ewha Med J 2024;47:e10.
    CrossRef
  15. Accounting for sex and gender makes for better science. Nature 2020;588:196.
    Pubmed CrossRef
  16. Cell Press. Author guideline updates address how to consider language related to "sex" and "gender". [cited 2024 Dec 5]. Available from: https://www.cell.com/do-content/sex-and-gender-guidelines.
  17. KISTEP. The 5th Science and Technology Master Plan [Internet]. KISTEP [cited 2024 Dec 9]. Available from: https://www.kistep.re.kr/reportDetail.es?mid=a10305030000&rpt_tp=831-002&rpt_no=RES0220230107.
  18. European Commission. Gender equality in research and innovation [Internet]. European Commission [cited 2024 Dec 4]. Available from: https://research-and-innovation.ec.europa.eu/strategy/strategy-2020-2024/democracy-and-rights/gender-equality-research-and-innovation_en.
  19.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NIH-Wide Strategic Plan for Diversity, Equity, Inclusion, and Accessibility (DEIA) [Internet].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cited 2024 Dec 4]. Available from: https://www.nih.gov/about-nih/nih-wide-strategic-plan-diversity-equity-inclusion-accessibility-deia.
  20. Canadian Institutes of Health Research. Best practices in equity, diversity and inclusion in research practice and design [Internet]. Canadian Institutes of Health Research [cited 2024 Dec 3]. Available from: https://www.sshrc-crsh.gc.ca/funding-financement/nfrf-fnfr/edi-eng.aspx.
  21. Natural Sciences and Engineering Research Council of Canada. Available from: https://www.nserc-crsng.gc.ca/index_eng.asp.
  22. Kim N, Nam K, Shim KN, et al. How to achieve diversity, equity, and inclusion in The Korean Society of Gastroenterology?. Korean J Gastroenterol 2025;85:22-30.
    Pubmed CrossRef